게임 기획의 공간

게임 기획과 강의 그리고 포트폴리오

게임 기획/시스템 기획 이론 10

10. 게임 시스템 데이터 테이블 만들기

데이터 테이블 만들기변수의 개념과 데이터 타입(자료형)에 대한 내용을 이해했다면 시스템 인지요소(Factor)를 이용하여 데이터 테이블을 설계할 수 있다. 작성 방식은 테이블 생성 양식(데이터 테이블 형태 항목 참조)에 따라 필요한 시스템 인지 요소를 추가하면 된다. 기능 구체화 과정을 통해 정리된 Factor과 규칙이 설정되었다면 이를 프로젝트에서 요구하는 양식에 맞춰 엑셀로 옮겨 적으면 데이터 테이블이 완성된다. 물론 실제 스킬 데이터는 더 많은 정보를 테이블에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시스템 테이블의 경우 초기 구상(설계) 단계에서 완성되는 것이 아니라 실제 데이터를 채워 넣으면서 논리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시스템 제어에 필요한 추가 요소들을 추가하고 불필요한 테이블을 제거하면서 최종 데이터 테이블..

9. 게임 시스템 기획 데이터 테이블 이론

데이터 테이블 종류시스템 기획이 인지 요소와 규칙을 정하는 것이라면 인지 요소를 시스템에서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필요하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것이 데이터 테이블이며, 게임 개발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된다.-. 데이터 테이블은 엑셀(Excel), 엑세스(Excel Access), 스크립트(Script), 전용툴 등 다양한 형태로 지원된다.-. 데이터 테이블은 콘텐츠를 조정/관리하고 데이터 추가를 통한 콘텐츠 확장에 이용된다.-. 개발 환경에 따라 시스템 기획자가 설계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단 프로그램팀에게 맡겼을 경우 프로그래머 기준으로 테이블이 설계되어 사용성면에서 불편할 수 있다.분류Description엑셀(Excel)가장 일반 적으로 사용되는 테이블 형식으로 엑셀에서 지원하는 다양한 함..

8. 게임 시스템 기획의 인지 요소

인지 요소(Factor) 확립추상화된 시스템이 보다 구체화되었다면 필요한 각 인지 요소(Factor)를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정리된 인지요소는 데이터 테이블과 시스템 제어를 위해 필요한 기능으로 활용된다. 하지만 기능에 포함되지 않지만 시스템 구성에 꼭 필요한 추가 인지 요소가 있으며, 본 문서에서는 이를 하위 요소(Sub Element)라 한다.▶. 하위 요소(Sub Element)인지 요소로 정리된 구체화된 기능 정보를 제외하고 시스템 구성에 필요한 추가 인지 요소를 말하며 순수 시스템에서 활용하기 위한 항목이다. ※. 인지 요소(Factor)와 하위 요소(Sub Element)로 구분했지만 실제 업무에서 하위 업무 개념은 사용하지 않는다.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문서에서만 언급되는 개념이다. 캐릭..

7. 게임 시스템 기획 컨셉의 구체화와 기능 분리

시스템 기획 시작하기대부분의 시스템 기획은 필요 기능 정리, 요소 확립, 데이터 설계 과정을 거쳐 진행된다. 하지만 프로젝트 상황에 따라 다양한 환경에서 프로젝트 오더가 시작되며, 대부분 2가지 형태중 하나로부터 시작된다. ▶. 게임 콘셉트에 따른 기획보통 게임은 콘셉트가 정해진 상태로 개발이 시작되지만 대부분의 콘셉트는 매우 함축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명확한 단어를 사용했다 하더라도 이를 표현할 수단(시스템)을 구성하기에는 불특정 한 부분이 많다. 시스템 기획을 시작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기능을 도출하고 이를 정리해야 하기 때문에 초기 기획의 콘셉트를 보다 구체화하여 명확하게 설명 가능한 수단(시스템)을 찾는 과정이 필요하다. 설정되어 있더라도 이를 구체화하는 과정을 통해 방향성 표현을 위한 기..

6. 게임 시스템 기획 개념잡기

시스템 기획 개념모든 게임 내 시스템은 범용적 개념으로 일종의 상태(State)를 가지고 있다. 이 상태는 조건(Condition)에 따라 다른 상태로 전환될 수 있는데 이 과정에 이벤트(System Event)와 인풋(Input) 그리고 아웃풋(Output)이 필요하다. 전등과 스위치가 있다고 생각해 보자 스위치는 On과 Off 상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스위치의 상태에 따라 전등이 켜지거나 꺼질 수 있다. 이러한 변화를 대상의 상태 변화라고 한다.※. 여기서 주의 깊게 봐야 하는 부분은 전등과 마찬가지로 스위치도 상태가 변화한다는 점이다. 이렇듯 시스템이 동작할 때는 현재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기본으로 한다. ▶. 상태(State)모든 시스템은 상태라는 개념을 가지고 있으며, 이 것..

5. 게임 시스템 기획 이론

시스템 기획과 콘텐츠 기획 회사 업무 프로세스에 따라 다르지만 시스템과 콘텐츠는 형제자매처럼 같으면서도 서로 다른 부분을 가지고 있다. 이렇듯 시스템과 콘텐츠는 상호 연관성이 매우 깊은 기획 업무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시스템과 콘텐츠 기획의 차이는 무엇일까? 예를 들어 게임에 다양한 스킬이 있다고 가정했을 때 이 스킬이 동작하는 룰과 데이터 설계는 시스템 기획이며, 데이터를 이용하여 다양한 스킬을 만들어 내는 것을 콘텐츠 기획이라 할 수 있다. 즉 콘텐츠(또는 게임)에서 사용되어야 하는 다양한 요소를 정의하고 이를 데이터화하는 것이 시스템 기획이라면 시스템을 기반으로 실제 게임에서 이용 가능한 것을 기획하는 업무가 콘텐츠 기획이라 할 수 있다. -. 일반 화살과 불 화살은 시스템상 거의 차이가 없는 투사..

4. 게임 시스템 기획의 데이터적 관점

시스템 기획게임은 다양한 시스템의 집합체이며, 시스템 기획은 테이블 설계, 시스템 정책(룰)을 수립하는 가장 하위 업무이다. 과거 독자적인 시스템 많았으나 이제는 대부분 장르별 비슷한 형태로 고착화되어 있기 때문에 자신이 개발하는 게임만이 아닌 경쟁사를 고려하여 보다 높은 경쟁력 있는 시스템 설계가 필요하다.-. 정확하게 이야기하면 시스템 기획만으로는 다른 게임과의 차별성을 주기 어렵다. 또한 시스템은 게임 내부적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개발 및 유지 관리 비용에 영향을 줄 수 있지만 게임 자체 경쟁력을 가지게 하기는 어렵다. 여기서 언급된 시스템 기획 = 콘텐츠 기획이라는 개념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면 된다.-. 시스템 기획과 콘텐츠 기획은 동일 업무라는 선상에서 바라볼 수 있어야 한다. 시스템 기획은 규칙..

3. 게임 개발 실무에서 알면 도움이 되는 것들

서버와 클라이언트나는 전문 서버 및 클라이언트 프로그래머가 아니기 때문에 아주 사소한 개념적인 부분에 대한 간단한 기본 지식만을 공유하고자 한다. 이 내용을 기획 이론 부분에서 언급하는 이유는 게임 개발을 처음 접하는 사람들과 대화할 때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개념이 없는 사람들을 봐왔기 때문에 간단한 내용을 정리하는 것을 마음먹게 되었다. 서버와 클라언트는 이론적으로 매우 단순하다 하나의 “서버”가 있으며, 사용자는 다수의 클라이언트를 통해 게임을 이용한다. 이때 서버와 클라이언트는 상호 규약에 따른 통신 과정을 통해 정보를 주고받으며, 사용자가 게임을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 데이터 패킷패킷(packet)은 네트워크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을 뜻하며,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상호 정보를..

2. 실무 게임의 개발 과정 흐름

개발 프로세스게임 개발은 장르와 내부 프로세스에 따라 개발 프로세스가 다르지만 대략적인 개발 과정은 비슷한 형태를 가진다. 프로젝트의 상황에 따라 다양한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하고 상황에 따라 유동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프로젝트에 따라 다르지만 전반적인 개발 프로세스의 단계별 업무 진행 방식은 비슷하다. 또한 담당 업무에 따라 협업 파트가 많기 때문에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다. 기획 회의무엇을 만들지 회의하고 개발 스펙을 산정한다. 주로 일정 및 프로젝트(콘텐츠) 스펙이 거론되며 무엇을 만들지 어떻게 만들지에 대한 아이디어와 담당자 할당으로 진행된다.-. 나는 이것을 업무 오더(Order)라 부르며, 대부분의 오더는 명확하지 않거나 대략적인 내용으로 설..

1. 게임 기획과 업무 영역

게임 기획시스템 기획을 설명하기 이전에 누구나 한번쯤 “게임 기획이란 무엇일까?”라는 정의를 생각해 봤을 것이다. 앞서 내용에서 설명한 부분을 참고하면 기획자는 프로젝트의 오더를 완성하기 위해 다양한 업무 영역을 오가며 업무를 진행하기 때문에 특정한 용어 또는 어느 한 분야로 특정하기가 매우 어렵다고 생각한다.​게임 기획의 범위는 정의를 내리기에 너무 넓으며, 시대의 흐름에 따라 기획자에 요구되는 사항이 변화한다. 과거 게임 기획자는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게임에 대한 열정만으로 업무가 가능했지만 현대에 와서는 더 세부적인 기술과 경험 그리고 엔진과 장르 인력 구조에 따라 다양한 역량을 요구하기에 이른다. (그래서 나도 늘 공부한다.) 게임이란?내가 이것을 정의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한다. 이미 성공한 개발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