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 기획의 공간

게임 기획과 강의 그리고 포트폴리오

게임 기획/기획자의 프로젝트 리드 3

03. 게임 기획 매니지먼트 스크럼을 이용한 개발

■. 스프린트 준비스프린트(Sprint)에 대한 목표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이제 각 스프린트를 달성하기 위한 보다 구체적인 해야 할 일 목록을 설정해야 한다. 이렇게 정리된 해야 할 일 목록을 나는 일감(Task)라 부른다. 일감은 쉽게 설명하면 스프린트가 진행되는 동안 스크러머(Scrummer) 개개인이 목표 달성을 위해 해야 하는 업무 목록이다.프로젝트 내부에는 다수의 스프린트가 존재하며 각 스프린트는 여러 개의 일감 목록으로 분리될 수 있다.> 스프린트 내부에 구성된 일감(Task) 구성을 완료했다면 각 일감은 보다 세부적인 항목으로 다시 구분될 수 있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몬스터 제작이라는 일감이 있다면 이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세부 작업 내역을 추가할 수 있어야 한다.하나의 태스크는 이를 수행하..

02. 게임 기획 매니지먼트 스크럼(Scrum)의 시작

■. 목표 설정스크럼은 오직 정해진 기간 내 목표를 달성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게임 개발에 있어 목표 달성이란 대부분의 문제를 해결하고 정상적으로 동작 가능한 시스템 또는 콘텐츠(Viable Product)를 완성하는 것이다 스크럼에서의 최종 목표가 프로젝트의 완성이며, 이 과정에서 중간 목표지점을 설정하는 것을 스프린트(Sprint)라 부른다. 스프린트는 달성 목표를 보다 단계적으로 분할하고 최종 목적지에 도달하는 동안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수정하고 대응할 수 있는 중간 기착지 역할을 한다. 하지만 당신이 스프린트를 설정할 때 꿈(목표)은 크게 와 같은 말을 믿는다면 시작하기도 전에 모든 것을 망쳐버릴 완벽한 준비를 마친 것이다. 스프린트 설정에서 중요한 부분은 하고 싶은 것을 하..

01. 게임 기획 매니지먼트 스크럼(Scrum)

게임 개발이 진행되는 동안 가장 어려운 문제는 프로젝트의 잦은 리젝트(Reject)와 사양 변경으로 목표를 잡지 못하고 프로젝트가 표류하게 될 때이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구성원은 지치고 상호 신뢰는 불신으로 바뀌어 시간이 지날수록 상황은 더욱 나빠지기만 한다. 지금까지 나는 이러한 상황을 대부분의 프로젝트에 만나왔으며 항상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스크럼(Scrum)을 활용해 왔다. 스크럼(Scrum)은 소프트웨어 개발을 위한 방법론 중 하나였지만 이제는 다양한 업무 영역에서 활용될 수 있는 워크플로(Workflow)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이미 체계와 방법적인 부분이 정해진 다른 워크플로와는 다르게 요구 사항과 변화된 환경에 맞게 탄력적으로 운영 가능한 애자일 방법론은 여전히 게임 소프트웨어 ..